목록전체 글 (70)
현인

들어가며 프론트엔드 개발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법한 단어들입니다. 저는 프론트엔드 직무 면접을 보면서 CSR 방식과 SSR 방식의 차이를 설명해달라는 질문을 종종 받았습니다. 개인적으로 궁금해서 공부했던 내용이지만 실제 면접에서도 물어보는 것을 보면 프론트엔드 개발자라면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는 지식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부터 CSR과 SSR이 무엇인지 간단히 알아보고, 두 방식에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CSR과 SSR CSR, SSR이라는 용어는 렌더링 방식을 뜻하는 용어입니다. 렌더링이란 서버로부터 HTML 파일을 받아 브라우저에 뿌려주는 과정입니다. 감이 잘 안오시죠? 우리의 경험을 한 번 되짚어 보겠습니다. 웹 사이트를 접속했는데 어떤 페이지는 어느정도 틀이..
7장 연산자 연산자(operator)는 하나 이상의 표현식을 대상으로 산술, 할당, 비교, 논리, 타입, 지수 연산 등을 수행하여 하나의 값을 만든다. 이때 연산의 대상을 피연산자라 한다. 피연산자는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이어야 한다. 피연산자는 "값" 이라는 명사의 역할을 한다면 연산자는 "피연산자를 연산하여 새로운 값을 만든다"라는 동사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산술 연산자 산술 연산자(arithmetic operator)는 피연산자를 대상으로 수학적 계산을 수행해 새로운 숫자 값을 만든다. 산술 연산이 불가능한 경우, NaN을 반환한다. 산술 연산자는 이상 산술연산자와 단항 산술 연산자로 구분된다. 이상 산술 연산자 이상 산술 연산자는 2개의 피연산자를 산술 연산하여 숫자 값을 만든다...
OSI 7계층이란?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개방형 시스템 상호연결 개방형 시스템이란 정해진 규약에 따르기를 원하는 어떠한 업체라도 그 개방형 시스템의 명세(spec.)을 사용하도록 허락된 것이다. 개방형의 반대 개념은 독점적, 폐쇄형이라는 뜻의 Proprietary 이다. OSI는 이러한 개방형 시스템들 간에 연결이라는 뜻이다. 계층을 나눈 이유는? 시스템들의 계층을 나눠서 관리함으로써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다. 또 흐름을 한 눈에 알아보기 쉽고,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다. 계층을 분리함으로써 각 계층은 독립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계층을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자신의 일을 처리하고, 다른 계층으로 interconnection 할 때에 규약..

6장 데이터 타입 데이터 타입은 값의 종류를 말한다.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값은 데이터 타입을 가지며 ES6 기준 7개의 데이터 타입을 제공한다. 7개의 데이터 타입은 원시 타입과 객체 타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구분 데이터 타입 설명 원시 타입 숫자(number) 타입 숫자. 정수와 실수 구분 없이 하나의 숫자 타입만 존재 문자열(string) 타입 문자열 불리언(boolean) 타입 논리적 참(true)과 거짓(false) undefined 타입 var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에 암묵적으로 할당되는 값 null 타입 값이 없다는 것을 의도적으로 명시할 때 사용하는 값 심벌(symbol) 타입 ES6에서 추가된 7번째 타입 객체 타입 객체, 함수, 배열 등 타입에 따라 확보해야할 메모리 공간의 크기도 다르고..
개념을 이해한다는 것은 바로 용어를 정확히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책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용어는 자바스크립트만의 전유물이 아닌 컴퓨터 공학 전반에서 사용하는 용어이다. 용어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개발자 간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자! 5장 표현식과 문 값 값(value)은 식(표현식, expression)이 평가(evaluate)되어 생성된 결과를 말한다. 평가란 식을 해석해서 값을 생성하거나 참조하는 것을 의미한다. 10+20 이라는 식은 평가 되어 숫자 값 30을 생성한다. 모든 값은 데이터 타입을 가지며, 메모리에 2진수, 즉 비트의 나열로 저장된다. 메모리의 저장된 값은 데이터 타입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변수는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메모리 공..